스마트 소하천
스마트 소하천 개요
스마트 소하천이란 IoT, AI, 센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소하천의 수위, 유속, 유량 등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·분석하고, 홍수 등 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주민 대피를 지원하는 지능형 하천 관리 시스템입니다.
스마트 소하천 구성도
소하천 스마트 운영 S/W
소하천 스마트 계측 프로세스
도입 배경 및 필요성
•
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, 태풍 등 자연재해 빈도 증가
•
소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유역면적이 작아 집중호우 시 수위가 빠르게 상승, 홍수 도달시간이 짧아 인명·재산 피해 위험이 큼
•
기존 수동·현장 중심의 하천 관리로는 신속한 대응 한계
•
실시간 계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 필요성 대두
주요 기능 및 구성
기능 구성 요소 | 설명 |
실시간 계측 | 초음파, 라이다, 레이더, CCTV 등 센서로 수위, 유속, 유량, 수온 등 실시간 측정 |
데이터 분석 | 계측 데이터와 기상정보, 재난예측 알고리즘을 결합해 홍수 등 위험상황 예측 |
조기 경보 및 알림 | 위험수위 도달 시 자동으로 주민 대피 안내문자, 마을방송 등 신속 전파 |
통합 관제 및 모니터링 | 관제센터에서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, 상황 발생 시 유관기관과 연계 |
자동 유량 산출 | 영상분석, 센서 데이터 기반 자동 유량 산출 및 통계화 |
다중 통신 지원 | 이동통신, 이더넷 등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및 시스템 안정성 확보 |
기존 시스템 연계 | 재난 예경보, 방재 등 기존 시스템과 통합 운영 가능 |
소하천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 기술 성능 비교
구 분 | 영상 유속계 | 레이더 유속계 | 초음파 유속계 |
측정대상 | 중·소하천 | 중·소하천 | 대하천 |
측정방식 | 비접촉식 | 비접촉식 | 접촉식 |
측정원리 | · 현장의 단면정보, 분석시간, 분석간격,
분석영역에 대하여 카메라가 수집한 연 속영상으로부터 넓은 영역의 정밀한 유 속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동으로 유량을 산정 | · 수표면에 레이더파를 쏘아서 미세한 물 결에 반사되어오는 레이더파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지점 유속측정을 하고 이를 이 용하여 유량을 산정 | · 초음파의 도플러 변이를 이용한 측정방식
으로, 수중에서 고정된 주파수의 음파를 송신하고 초음파 산란체(부유사 등)로부터 되돌아오는 반향음(sound eco)에 대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 |
계측 기간 | 상시 | 상시 | 상시 |
현장 모니터링 | 가능 | 가능 | 가능 |
측정한계 | ·평수시, 홍수시 제한 없이 실시간 유속
분포 측정 가능
·소하천 홍수시 측정사례 다수 | ·지점 유속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유량
측정정확도 낮음
·소하천 홍수시 측정사례 전무 | ·저수심 측정 불가(일정 수심 유지 필요)
·접촉식으로 센서 파손 우려
·소하천 홍수시 측정사례 전무 |
설치 예시 | |||
장·단점 비교 | ·CCTV 영상 기반 비접촉 방식
·지속적인 무인 유량계측 가능
·접촉시 대비 안정성 高, 비용 低
·면(Surface) 유속분포 계측
→ 유량계측 정확도 높음
·계측결과, 현장 상황 실시간 관리 가능
·ISO748(국제표준) “측선수 기준” 적합
·홍수 후 현장여건에 제한없이 측정 가능 | ·레이더파를 이용한 비접촉식 방식
·점(Point) 유속 계측
→ 유량계측 정확도 낮음
·계측지점 인지 어려움
·현장상황에 따라 정확도 검증 필요
·ISO748(국제표준) “측선수 기준” 부적합
·홍수 후 유로변경시 측정 위치 변경 필요 | ·대하천 유량 측정 유리
·물속의 정밀 유속분포 측정 가능
·수심 0.5m 이상에서만 유속 측정 가능
·접촉식으로 홍수시 파손 위험
·ISO748(국제표준) “측선수 기준” 부적합 |